난나라직거래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.
알림사항
  •  
  • 1
  • 2
  • 3
  • 4
  • 5
  • 6
  • 7
  • 8
  • 9
  • 10
  • 11
  • 12
  • 13
  • 


     

    난클리닉/배양담

    작성일 : 15-04-01 21:20
    [공지] 온실에서 난재배방법
     글쓴이 : 난나라
    조회 : 2,748  

    온 실}

    온실은 원래 취미 재배에서 시작되어서 귀족, 또는 부유층의 장식 온실
    로 변모되어 왔으며, 추위에 약한 관상식물을 월동시키거나 겨울 재배를
    하는데 필요한 시설이다. 온실은 생산용, 번식용,전시용, 연구용, 장식용
    등이 있으며 용도에 따라서 그 형태나 구조 가 달라진다. 온실의 형태는
    반지붕식, 3/4지붕식, 양지붕식, 원형지붕식, 양지붕식의 연동식이 있으
    며 양식에 따라 각각 장단점이 있다. 이중에서 반지붕식의 경우는 가정용
    으로 많이 이용되며, 원형지붕식은 장식용 온실로 많이 이용된다.
    < 온실의 위치>
    온실의 설치위치는 그 지역의 온도,계절에 따른 바람의 방향, 강우량, 일
    조량 등의 기후 조건에 따라서 달라진다.
    일반적으로 온실은 온도, 습도, 광선 및 통풍 등의 조절이 편리한 곳에 위
    치해야 하며, 지대가 낮은 곳은 피해야 한다. 가능하면 난실은 동향, 또
    는 동남향으로 앉혀서 통풍과 채광이 잘되도록 하되 겨울철에는 보온하
    는데 어려움이 없는 곳이 좋다.


    < 온실의 종류>

    1)양지붕식 온실
    가장 기본적인 온실의 형태로서 양지붕의 경사도 및 길이가 같은 형태의
    온상이다.
    채광과 통풍이 잘되는 장점을 지니고 있으나 보온이 어려워 추운 지방에
    서는 보편화되기 힘든 형태의 온실이다.

    2)반지붕식 온실
    간단한 가정 온실이나 북쪽에 벽 또는 건물이 있을 때, 그것을 이용하여
    남쪽 방향으로 지붕이 기울도록 만든 온실로서 다른 형태에 비하여 시설
    비가 적게 들며, 쉽게 만들 수 있다. 보온은 비교적 용이하나 채광이 양지
    붕식에 비하여 크게 떨어지며, 통풍이 불량하기 때문에 환기에 신경을 많
    이 써야 하는 온실의 형태이다.

    3)3/4식 온실
    전체 유리지붕 면적 비의 3/4이 앞면, 1/4이 뒷면을 차지하는 비율인데,
    앞면이 남쪽으로 향하고 반대편은 북쪽을 향한다. 반지붕식 온실의 단점
    을 보완한 형태로서 채광 및 보온성 이 좋고, 규모가 작으면서도 창이 많
    은 구조로 만들 수 있다.

    4)양지붕의 연동온실
    양지붕식 온실을 여러동 연결시키는 구조로서 재료비를 절약할 수가 있
    고, 온도의 변화가 적기 때문에 주로 기업적 온실로서 적합한 구조이다.
    대규모의 절화재배용 온실이나 서양란 재배 온실로 접합하며 연동 온실
    은 특히, 환기 및 통풍, 강우 등에 주의하여야 한다.
    연동 온실의 연결 부위에 빗물이 고이거나 눈이 쌓여서 하중을 이기지 못
    하고 무너지는 경우가 있으므로 연결 부위의 설계 및 시공에 주위하여야
    하고, 적설량이 많은 지방에서는 연동형 온실 설치에 각별히 주의를 기울
    여야 한다.

    5)원형 온실
    일면 표본 온실이라고도 한다. 이 온실의 형태는 주로 표본 식물을 보존
    하기 위하여 지붕을 돔도는 원형으로 만든 온실로서 식물은 주로 땅에 심
    어 높게 자라게 한다.
    이러한 온실은 간혹 취미및 관상용으로 건설되기도하나, 가온 및 유지비
    가 많이 든다.
    주로 식물원 등에서 많이 사용하는 형태이다.


    < 온실의 구조>

    유리 온실은 어떠한 종류의 자재를 사용하느냐에 따라서 수명이 달라진
    다.
    목조 온실은 5-6년정도 사용할 수 있으며, 철골구조는 내구성이 길어서
    20년이상 유지할 수 있다. 요즈음에는 녹슬지 않고 가벼우며 내구성이
    강한 알루미늄 칼라 샤시(sash)나 FRP샤시를 많이 이용하고 있는데,
    20년이상 견딜 수 있다.

    1)구조

    온실의 벽이 지상으로 완전히 드러나거나 일부가 땅속에 묻히도록 하는
    데, 어느쪽의 경우라도 지상으로부터 1m정도는 벽돌을 쌓아 주는 것이
    좋다.
    특히, 일부가 땅속에 묻히는 경우 지반공사 및 배수 공사를 잘해야 한다.
    기둥의 위치 및 굵기는 온실의 규모와 지붕의 기울기에 따라서 달라지며
    바람의 방향과 최대 풍속을 감안하여 결정되어야 한다.

    2)지붕

    온실 지붕의 기울기는 채광 및 통풍에 있어서 무엇보다도 가장 중요한 요
    소의 하나이다.
    특히, 겨울철의 햇볕을 받아들 일 수 있도록 해야 하는데 우리나라에서
    는 동지때 태양의 기울기가 29°정도이므로 온실의 지붕은 20°정도가 되
    어야 햇볕을 많이 받아들일 수가 있다.
    그러나, 실질적으로 이러한 경사도는 보온상에 문제점이 있기 때문에 기
    울기는 26°내외가 되도록 하는 것이 보통이다. 특히, 경영적인 측면에서
    연료비를 절감하기 위해서는 지붕의 기울기는 이보다 더 낮추기도 한다.

    3)창문

    온실의 창문은 환기 및 통풍에 있어서 필수적인 요소이다. 공기가 들어오
    는 옆창과 공기를 내보내는 천창을 설치하고, 이들의 적절히 열고 닫음으
    로서 온실내 온도와 통풍을 조절하여 식물의 헛자람과 병충해의 발생을
    방지해 주어야 한다.
    창문에는 강제환풍을 시킬 수 있도록 환풍기의 설치를 고려하도록 해야
    한다.

    4)환기통

    난은 통풍이 잘되도록 하는 것이 매우 중요한 재배 요건이다. 따라서, 창
    문에 환풍기를 설치하여 강제 통풍을 할 수도 있으나, 자연 통풍을 시켜
    주는 방법도 있다.
    공기의 대류 작용을 이용하거나, 계절에 따른 풍향을 고려한다면 자연풍
    의 이용이 가능하다.온실의 바닥 면이나 벽면에 바깥쪽의 지표면과 통하
    도록 곳곳에 통풍구를 만들 어주면 여름철에는 시원한 공기와 더불어 습
    기의 공급처가 되므로 공중 습도의 유지에도 유리하다.

    5)베드(Bed)

    난분을 놓거나 걸어 놓을 수 있는 시설을 말한다.
    베드의 높이는 우리나라 사람의 표준체형을 기준으로 할 때 지면으로부
    터 60cm정도가 알맞으며 폭은1-1.2m가작업하기에 알맞다. 베드는 통
    풍이 잘되도록 고안해야 하며, 이동식으로 설치하면 공간활용 측면에서
    매우 효율적이다.

    6)스프링쿨러

    온실에 스프링쿨러(springkler)나, 미스트(mist)장치를 설치함으로서
    관수나, 시비 및 농약 살포에 이용할 수가 있으며, 타이머(timer)를 부착
    하면 자동관수가 가능하다.
    온실의 지붕 위쪽에 스프링쿨러시설을 하거나 물흘림 장치를 하면 여름
    철에 실내 기온을 낮추는데 매우 효과적이다. 여름철에 온실의 유리 위
    로 물을 흘러 내림으로서 외기보다 3°정도를 더 낮출 수 있다.

    7)차광시설

    난은 직사광선을 피해야 함으로 차광 시설은 필수적인 시설 요건이다. 차
    광시설은 온실지붕위에 설치하는 것이 내부에 설치하는 것보다 훨씬 유
    리하다.
    온실지붕위에 설치할 경우에도 지붕 면보다 30cm이상 떨어지도록 하는
    것이 온실 내부의 기온을 떨어뜨리는데 효과가 있다.


     
     

    난클리닉/배양담

    Total 70
    번호 제   목 글쓴이 날짜 조회
    공지 [난클리닉] 년간 살균 및 살충 계획표 (1) 난나라 19-02-23 9449
    공지 [난클리닉] 혼합배율표 (1) 난나라 21-10-29 4360
    공지 [배양담] 한국춘란의 약진 이대발 (1) 난나라 19-08-03 3987
    공지 [공지] 중국에서 유통되는 육종퓸 (2) 난나라 17-04-02 14428
    30 [공지] 4월달의 난관리 난나라 15-04-01 2437
    29 [공지] 3월달의 난관리 난나라 15-04-01 2252
    28 [공지] 1~2 월달 난관리 난나라 15-04-01 3087
    27 [공지] 온실에서 난재배방법 난나라 15-04-01 2749
    26 [난클리닉] 난잎의 증세에 따른 병증 난나라 15-03-06 1917
    25 지금은 토양개량할 때-<풍산게르마늄> 살포후 수년간 비료.농약없이 병… 어진여인 15-01-06 1753
    24 [공지] 12월 난관리 난나라 14-11-30 2329
    23 [난클리닉] 난의 병에 대한 약사용법 이해 난나라 14-08-28 5205
    22 [난클리닉] 혼합 배율 참고자료 난나라 14-07-20 1979
    21 [난클리닉] 농약 혼용 주의 참고자료 (1) 난나라 14-07-20 6633
    20 [난클리닉] 잎이 갈변하면서 똑똑 부러지는 병 난나라 14-07-20 2835
    19 [난클리닉] 부위에 따른 치료 난나라 14-07-20 2628
    18 [난클리닉] 춘란 연간 예방 & 치료 방법|병해 약제 자료 [춘란원에서 옮김] 난나라 14-07-20 3772
    17 [난클리닉] 농약살포 년중계획 참고자료 난나라 14-07-20 2956
    16 [배양담] 목초액 사용에 관하여 난나라 14-07-20 3293
    15 [배양담] 우리나라 난의 역사와 전망 (1) 난나라 14-07-05 2910
    14 [배양담] 난의 형태와 특징 난나라 14-04-01 2495
    13 [배양담] 우리나라의 난 재배 역사 와 난의 아름다움 (2) 난나라 14-04-01 3123
    12 [배양담] 난이십이익 난나라 14-04-01 1955
    11 [배양담] 휴면의 중요성 난나라 14-04-01 2159
    10 [배양담] 구입방법 난나라 14-04-01 1850
    9 [배양담] 엽예품(葉藝品) 난나라 14-04-01 2018
    8 [배양담] 화예품 (花藝品) 난나라 14-04-01 2254
    7 [배양담] 춘란이란 난나라 14-04-01 1874
    6 [배양담] 난의 역사(歷史) 난나라 14-04-01 1970
    5 [배양담] 난이란 (1) 난나라 14-04-01 2718
    4 [배양담] 난석에 대한 일반적인 의견들... 난나라 14-03-28 2707
    3 [배양담] 질병과대책 (4) 난나라 14-03-04 4497
    2 [배양담] 전시 출품, 사전에 준비하자 참나무정 14-01-16 1828
    1 [배양담] 약제를 좀더 간단히 설명할수 있을까? - (1) 난나라 14-01-16 2709
    <<  1  2